Hub?허브를 한마디로 이야기 하면, 멀티포트(Multiport), 리피터(Repeater)말할 수 있다. 멀티 포트는 말 그대로 포트가 많이 붙어 있다는 뜻이고, 리피터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재 전송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허브는 포트가 여러개 달린 장비인데, 이것은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로 부리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리피터는 장거리 전송으로 인해 약해진 신호를 증폭하는 장치를 말한다. // 요즘은 리피터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허브가 그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허브 는 이더넷 허브인 만큼 CSMA/CD의 적용을 받는다. 허브는 하지만 한계가 있다 모든 PC가 하나의 collsion domain에 속하기 때문에 한 순간에 한 PC만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
Ethernet+ Ethernet의 종류+ Ethernet Frame의 구조와 전송 방식 이해 + CSMA/CD의 원리+ Full Duplex VS Half duplex 비교 Ethernet 이란?이더넷은 네트워킹의 한 방식이다. 즉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이더넷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CSMA/CD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을 한다는 점이다. // 국내 네트워킹 방식 90%를 차지 하고 있다. 네트워크의 방식에는 FDDI 방식 그리고 ATM 방식 그리고 토크링 방법도 있다. 그리고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ction 을 줄여서 부르는 방식입니다. 이통신 방식을 한마디로 말하면 " 대충 알아서 눈치로 ..
OSI 7 Layer 정리 목표 > 계층화 목적과 장점 이해 > 각 계층별 특성 및 대표적인 프로토콜 학습 OSI 7 Layer 란?(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든 네트워크 통신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국제표준기구(ISO)에서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기본 모델로써 통신망을 통한 상호접속에 필요한 제반 통신절차를 정의하고 이 가운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동일계층으로 분할하여 모두 7계층으로 분할한 것임. 이는 통신기능을 7개의 수직계층으로 분할하여 각 계층마다 다른 계층과는 무관하게 자신의 독립적인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함. 각각의 계층을 다른 계층과 독립적으로 구성한 것은 한 모듈에 대한 변경이 전체 모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출처] 퍼미션, chmod, chown, chgrp, chattr, lsattr |작성자 dong_wook35 http://blog.naver.com/dong_wook35/110179022822 Permission? 리눅스 시스템의 임의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User, Group, Other 라는 3가지 사용자 그룹으로 나눠서 read, write, execute 의 권한을 설정한다. 소유자(User)그룹(Group) 그 외 사용자(Other) r w x r - - r - - 4 2 1 4 0 0 4 0 0 7 4 4 [출처] 퍼미션, chmod, chown, chgrp, chattr, lsattr |작성자 dong_wook35 계정권한 추가 및 제거 허가 종류 u g o a + - = r ..
Change Managment7.1 서론7.1.1 기본사항7.2 목표7.2.1 효과7.3 프로세스7.3.1 변경 관리 활동7.3.2 다른 프로세스와의 관계7.4 활동7.4.1 기록7.4.2 접수7.4.3 분류7.4.4 계호기 및 승인7.4.5 조정7.4.6 평가7.4.7 긴급 변경의 구축7.5 프로세스 관리7.5.1 관리 보고7.5.2 성과 지표7.6 비용 및 예상 문제점7.6.1 비용7.6.2 예상 문제점7.1 서론비즈니스에 영향을 주는 IT 인시던트가 변겅과 관련이 잇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인시던트의 원인은 다양하다. 부주의'자원부족'준비 부족'부실한 파급효과 분석'부적절한 테스트;도입 과정의 문제 대문에 발생할 수 있다. 변경과 관련된 인시던트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IT 서비스 제공자와 비즈니..
Configuration Management6.1 서론6.1.1 기본 개념6.2 목표6.2.1 효과6.3 프로세스6.3.1 구성 관리 활동6.3.2 다른 프로세스와의 관계6.4 활동6.4.1 계획6.4.2 확인6.4.3 상태 관리6.4.4 CI의 관리6.5 프로세스 관리6.5.1 핵심 성공 요소6.5.2 관리 보고 및 성과 지표6.5.3 기능과 역할6.6 비용 및 예상 문제점6.6.1 비용6.6.2 예상 문제점6.1 서론모든 IT 조직은 IT 인프라스트럭처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한것은 그 정보가 최신 상태오 유지,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는 IT 인프라스트럭처에 관한 믿을 수 있는 관련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둔다. ..
ITIL ( IT infrastracture Library )3.1 배경3.2 단체3.2.1 OGC3.2.2 ITSMF3.2.3 EXIN과 ISEB3.3 ITIL 단행물3.3.1 서비스 제공3.3.2 서비스 지원3.3.3 보안 관리3.3.4 ICT 인프라스트럭처 관리3.3.5 애플리케이션 관리3.3.6 비즈니스 관점3.3.7 서비스 관리 구축을 위한 계획3.1 배경ITIL은 검증된 IT 서비스 관리 베스트 프랙티스를 처계적이고 유기적으로 전파하기 위해 개발되엇으며, 효과적인 프로세스의 개발과 서비스 품질에 기반한다. ITIL은 IT인프라 스트럭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부서의 모든 활동에 대한 공통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들 활동은 여러 프로세스로 나눠며, 효과적인 프레임워크를 형성하여 함게..
2장 ITSM ( IT Service Management )2.1 서비스의품질2.1.1 품질보증2.1.2 조직의 성숙도2.2 조직과 정책2.2.1 비전'목표'정책2.2.2 계획 대상 범위와 기간2.2.3 문화2.2.4 인적 자원 관리2.2.5 IT 고객 관계 관리2.3 프로세스 관리2.3.1 프로세스2.3.2 프로세스 및 부서2.3.3 IT 서비스 관리2장 ITSM(IT Service Management)IT 서비스 관리(ITSM)를 이해하려면, 먼저 IT 서비스 관리 체계의 발전에 영향을 준 품질, 조직, 서비스(프로세스)의 개념을 알아야한다. 이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컴퍼넌트 사이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ITIL은 ITSM를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