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Cyber Physical SystemsInsup Lee, Oleg Sokolsky Abstruct 본 논문은 MCPS(medical cyber-physical systems)에 대하여 논한다. 의료분야의 소프트웨어 의존도가 늘어 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이것은 MCPS를 개발이 요구되는 좋은 상황이고 기회이다. Introduction의료 장비 산업은 stand-alone 에서 급속히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 연결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변화 하고 있다. 환자들은 한명에게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 사용이 된다. 우리는 가까운 미래에 분산된 시스템을 통해 동시적으로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나게 될것이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바이스 제어..
http://man7.org/linux/man-pages/man2/getrlimit.2.html 시스템의 리소스 제한값을 보거나 설정하는 것은 아래 함수를 통해 할 수 있다.설정이 필요한 프로그램 실행전에 명령으로 설정을 매번 바꿔줘야 한다는 것이다.#include #include struct { rlim_t rlim_cur; // soft rlim_t rlim_max; // hard }; // rlim_cur 설정하고자 하는 값// rlim_max 설정 가능한 최대값 int getrlimit(int resource, struct rlimit *rlim); int setrlimit(int resource, const struct rlimit *rlim); [출처] 시스템 자원 값 얻어오기(getrlimi..
01. 메모리 관리의 이행와 기법 소개 테스크는 실행되기 위해 궁극적으로 주기억 장치인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한다. 커널은 테스크를 메모리의 어디에, 언제, 어떻게 적재할 것인지와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메모리를 다루기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속도, 용량이다. 1. 속도 메모리의 속도는 CPU의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HDD의 속도는 메모리의 속도에 비래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러한 상황에서 때문에 CPU에 캐시 메모리를 두고, 메모리에는 버퍼캐시를 H/W배치라여 속도의 차이를 해결한다. 2. 용량 멀티테스킹 환경에서 다수의 테스크가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된다, 테스크 전체의 크기가 물리적 메모리보다 크다면 문제가 된다.이런 문제는, 실행될 프로그램 전부가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
01.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디스크립터 1. 프로세스 이해 - 프로세스는 시스템내의 자원(CPU,MEMORY, I/O(주변장치),파일)을 사용한다.- 커널은 프로세스관리자이다. 프로세스의 생성,전이,소멸 상태을 관리한다. 프로세스의 자원을 할당,제한,회수 한다.-프로세스는 배치 시스템에서는 Job이라고 불리우면 시분할 싯템에서는 Task라고 불리운다. - 쓰레드(thread)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는 기능들을 병행하여 실행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기위한 개념프로세스는 하나이상의 쓰레드로 구성된다.1개면 단일 쓰레드 or 2개 이상이면 멀티 쓰레드- 멀티 쓰레드 >> 여러 쓰레드가 병행하여 실해으 쓰레드간 자원을 공유함(메모리)- 멀티 프로세스 >> 여러 프로세스가 병행하여 실행, 프로세스간에 자원..
출처 : http://sunyzero.tistory.com/191출처 블로그가 너무 훌륭하다. fork란?fork는 유닉스/리눅스 계열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드는 표준 함수이다. 그런데 fork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들 때 기존 프로세스를 복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 원본 프로세스를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라고 부르고 새로 복제된 프로세스를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라고 부른다. 1. 부모와 자식 프로세스의 관계현실 세계에서 부모와 자식은 끊을 수 없는 강한 연결점이 있지만 유닉스 계열의 부모, 자식 프로세스는 그런 것과는 상관없다. 그냥 유전자가 복제되듯이 선천적으로 물려받는 정적 자원 만을 복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정적 자원에는 file, mask, m..
시스템 콜?정의시스템 콜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운영체제에게 기능(시스템 자원)을 수행해달라고 하는 하나의 수단이다. 효과저수준 프로그래밍을 몰라도 되므로 프로그래밍이 쉬워지며, 프로그램 호환성이 좋아진다.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기전에 인터페이스 수준에서 올바른 요청인지 검사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보완성이 높아진다. 시스템콜의 이해 사용자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를 통해 커널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처리방식 사용자 프로세서가 시스템콜을 요청하면 제어가 커널로 넘어간다. (사용자모드 -> 커널모드) 커널은 내부적으로 각각의 시스템콜을 구분하기 위해 기능별로 고유번호를 할당해 놓는다. 해당번호는 커널내부에 제어루틴을 정의한다. 커널은 요청받은 싯템 콜에 대응하는 기능번호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