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o.wikipedia.org/wiki/TCP/UDP%EC%9D%98_%ED%8F%AC%ED%8A%B8_%EB%AA%A9%EB%A1%9D Port Number각 서비스의 포트번호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 외에도 있으니 참조)20, 21(TCP) : FTP(데이터전송/제어)22(TCP) : SSH(Secure Shell)23(TCP) : Telnet25(TCP) : SMTP 메일 전송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42(TCP) : Name Server(Host Name Server)53(TCP/UDP) : DNS67(UDP) : DHCP69(UDP) : TFTP (Trivial File Transfer (인증없는 파일전송))70(TCP) : Gopher79(TCP) ..
출처 : http://hys9958.tistory.com/entry/mysql-%EC%9D%B4%EC%A4%91%ED%99%94-master-slave%EA%B5%AC%EC%84%B1%ED%95%98%EA%B8%B0#recentTrackback MySQL Replicaton 은 DB 서버를 여러대 두고 웹서버로 부터의 접속(쿼리, select)을 분산 시켜DB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입니다.slave 서버에서 master 서버의 바이너리 로그파일을 참조하여 업데이트 하므로,slave 서버에 로그인하여 DB를 update 하면 동기화가 되지 않으니slave 서버는 select 용도로만 사용을 해야 합니다. 본 메뉴얼 작성시 테스트 버전은 MySQL 5.1.34 입니다.두대의 MySQL 버전이 다를 경우, ..
[출처] 퍼미션, chmod, chown, chgrp, chattr, lsattr |작성자 dong_wook35 http://blog.naver.com/dong_wook35/110179022822 Permission? 리눅스 시스템의 임의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User, Group, Other 라는 3가지 사용자 그룹으로 나눠서 read, write, execute 의 권한을 설정한다. 소유자(User)그룹(Group) 그 외 사용자(Other) r w x r - - r - - 4 2 1 4 0 0 4 0 0 7 4 4 [출처] 퍼미션, chmod, chown, chgrp, chattr, lsattr |작성자 dong_wook35 계정권한 추가 및 제거 허가 종류 u g o a + - = r ..
데스크탑 PC 시스템과 내장형 시스템의 하드웨어 특성과 요구사항이 다르기 대문에 데스크탑 기반의 운영체제로 쓰이는 GNU/Linux를 내장형 시스템의 운영체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대한 최적화가 뒤따라야한다. 최적화를 위한 다섯가지 방법을 서명하고, 실례로서 Zdisk와 LRP에서 만든 결과를 분석해보고, LFS와 몇 가지 문서를 바탕으로 임베디드 리눅스 제작방법의 한예를 설명한다. http://coffeenix.net/data_repository/pdf/KernelOpt12.pdf
gettimeofday는 유닉스,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에서 시간을 구할 때 쓰던 함수이다. 마이크로초(백만분의 1초)단위로 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많이 사용되는 함수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gettimeofday는 사용하지 말아야할 함수가 되었다. 왜냐하면 gettimeofday는 2008년도 유닉스 표준인 SUSv4-2008에서 앞으로 제거될 구식(obsolescent) 함수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물론 하위 호환성을 위해서 gettimeofday 함수는 계속 제공될 것이다. 하지만 기본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는 제거되고, 구식 라이브러리를 따로 포함해야 사용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에 차후에는 gettimeofday는 쓰지 않는 편이 좋다. 참고로 지금까지의 표준안의 행보로 봤을 때 ..
http://man7.org/linux/man-pages/man2/getrlimit.2.html 시스템의 리소스 제한값을 보거나 설정하는 것은 아래 함수를 통해 할 수 있다.설정이 필요한 프로그램 실행전에 명령으로 설정을 매번 바꿔줘야 한다는 것이다.#include #include struct { rlim_t rlim_cur; // soft rlim_t rlim_max; // hard }; // rlim_cur 설정하고자 하는 값// rlim_max 설정 가능한 최대값 int getrlimit(int resource, struct rlimit *rlim); int setrlimit(int resource, const struct rlimit *rlim); [출처] 시스템 자원 값 얻어오기(getrlimi..
01. 메모리 관리의 이행와 기법 소개 테스크는 실행되기 위해 궁극적으로 주기억 장치인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한다. 커널은 테스크를 메모리의 어디에, 언제, 어떻게 적재할 것인지와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메모리를 다루기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속도, 용량이다. 1. 속도 메모리의 속도는 CPU의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HDD의 속도는 메모리의 속도에 비래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러한 상황에서 때문에 CPU에 캐시 메모리를 두고, 메모리에는 버퍼캐시를 H/W배치라여 속도의 차이를 해결한다. 2. 용량 멀티테스킹 환경에서 다수의 테스크가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된다, 테스크 전체의 크기가 물리적 메모리보다 크다면 문제가 된다.이런 문제는, 실행될 프로그램 전부가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
01.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디스크립터 1. 프로세스 이해 - 프로세스는 시스템내의 자원(CPU,MEMORY, I/O(주변장치),파일)을 사용한다.- 커널은 프로세스관리자이다. 프로세스의 생성,전이,소멸 상태을 관리한다. 프로세스의 자원을 할당,제한,회수 한다.-프로세스는 배치 시스템에서는 Job이라고 불리우면 시분할 싯템에서는 Task라고 불리운다. - 쓰레드(thread)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는 기능들을 병행하여 실행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기위한 개념프로세스는 하나이상의 쓰레드로 구성된다.1개면 단일 쓰레드 or 2개 이상이면 멀티 쓰레드- 멀티 쓰레드 >> 여러 쓰레드가 병행하여 실해으 쓰레드간 자원을 공유함(메모리)- 멀티 프로세스 >> 여러 프로세스가 병행하여 실행, 프로세스간에 자원..